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asd 의학용어 알기, 심방중격결손 이란?

by 500M 2023. 3. 17.
728x90

ASD는 "Atrial Septal Defect"의 약어로, 심장의 심방사이 중격 결손을 말한다. 심장의 좌우 심방 사이의 중격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작은 구멍이 뚫려있는 상태를 뜻하는데, 이는 선천성 질환으로서, 심장의 발달과정에서 중격이 완전히 형성되지 못한 경우에 발생한다. 

 

 

ASD 심방중격결손 은 일반적으로 증상이 없거나 미미한 경우가 많아, 발견이 늦어질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는 별다른 치료 없이도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지만, 큰 크기의 결손이나 합병증이 있는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치료 방법에는 수술이나 경화술 등이 있으며, 심장과 관련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시기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심방중격결손의 원인


1) 선천성 

심방중격결손(Atrial Septal Defect, ASD)의 원인은 대개 선천성이다. 태아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심장의 중격이 완전히 형성되지 못하거나 형성 과정에서 이상이 생겨서 발생할 수 있다.
심방중격결손은 유전적 요인도 있을 수 있으며, 염색체 이상 등의 유전적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ASD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2)후천성 

그 외에도, 어떤 의학적 상황에서는 후천적인 심방중격결손이 발생할 수 있다. 심장 수술 후 심장조직의 손상으로 인해 심방중격결손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일부 경우에는 심장 질환 또는 심장 수술 후에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심방과 심실 사이의 혈류량이 변화함에 따라 심방의 압력이 증가하거나 심방벽이 늘어나는 등의 변화가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심방중격결손의 증상


심방중격결손의 증상은 아주 작은 크기의 결손에서는 증상이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큰 크기의 결손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심장질환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즉시 의료진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1)호흡곤란: 심장에서 혈액이 폐로 이동하기 때문에 폐쇄성 폐질환에 걸린 것처럼 호흡곤란을 느끼게 된다. 
2)피로감: 심장의 혈액순환 기능이 감소하면서 에너지가 부족해지기 때문에 피로감이 느껴질 수 있다.
3)발한: 손발이 차가워지고, 색깔이 바뀌는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4)맥박 빈도 증가: 혈액순환량이 감소하면서 맥박 빈도가 증가할 수 있다.
5)심장부종: 심장에서 혈액이 물을 먹은 것처럼 쌓이게 되면서 심장부종이 발생할 수 있다.
6)간경변증: 심장에서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기면 간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간경변증이 발생할 수 있다.

심방중격결손의 검사 방법


심방중격결손의 검사 방법은 다음과 같은 검사를 통해 심방중격결손의 진단과 심장 기능의 정확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1) 신체 검사: 의사는 청진기와 망원경 등을 이용하여 환자의 심장을 검사한다. 청진기로 심장 소리를 듣는다. 
2) 심전도(EKG): 심전도는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는 검사다.  심장 내부의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여, 심장의 기능상 이상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3) 초음파 검사: 심장 내부를 초음파로 촬영하여 심장의 기능상 이상과 심장 기능을 확인.
4)심장 자기공명영상검사(MRI): 자기장을 이용하여 심장 구조와 기능을 자세하게 측정하는 검사.
5)카테터화장술 검사: 카테터를 이용하여 심장 내부의 구조를 확인하는 검사. 심장 내부로 카테터를 삽입하고, 환자의 혈압을 측정하고 혈액 샘플을 채취하여 검사를 진행한다. 

 

심방중격결손의 치료


심방중격결손의 치료는 결손의 크기와 위치, 환자의 나이, 증상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결손이 작고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결손이 크고 혈압이 증가하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수술이나 기타 치료가 필요하다. 어떤 치료를 선택하더라도 치료 전문의의 검진과 조언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수술: 결손이 큰 경우에는 수술을 통해 치료한다. 
2)카테터 기술: 소아에서는 카테터 기술을 사용하여 결손을 막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방법은 피부를 뚫지 않고 혈관을 통해 카테터를 이용하여 결손 부위에 프레임을 놓는 방법으로, 일반적인 수술보다 휴유증이 적고 회복 기간도 짧다.
3)약물 치료: 증상이 가벼운 경우에는 약물 치료로 치료할 수 있다. 약물 치료는 심장부하를 줄여 심장 기능을 보존하고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심방중격결손의 비수술적 치료 방법


심방중격결손의 비수술적 치료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비수술적 치료 방법도 있지만, 어떤 치료를 선택하더라도 치료 전문의의 검진과 조언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1) 약물 치료: 심방중격결손 환자는 혈압이 높을 경우에 혈압을 조절하는 약물을 복용한다. 이를 통해 심장 부하를 줄여 심장 기능을 보존하고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관찰: 결손이 작고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정기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이 경우에는 결손이 자연스럽게 막히거나 작아질 수 있다.
3)카테터 기술: 일부 심방중격결손 환자에게는 카테터 기술을 이용하여 결손 부위에 프레임을 놓는 방법다. 카테터 기술은 소아에서 주로 사용되며, 수술보다는 휴유증이 적고 회복 기간도 짧다.

 

 유아기, 청소년기, 성인기 중 

심방중격결손의 치료 언제가 좋을까


심방중격결손의 치료를 위한 가장 적절한 때는 개별적으로 판단해야 하지만, 대개는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발견되고 치료가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따라서, 유아기나 청소년기에 심방중격결손이 발견된 경우,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성인기에 심방중격결손이 발견된 경우에도 가능한 빨리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증상이 이미 나타나거나 심한 경우에는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즉, 개별적인 환자의 상태와 치료 가능성을 고려하여 의사와 함께 적절한 시기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젠멩거 증후군이란?


아이젠멩거 증후군(Eisenmenger Syndrome)은 심장의 선천성 질환 중 하나로서, 처음에는 대부분 심방중격결손증이나 동맥궁합증 등으로 시작하여, 급성 폐쇄성 폐혈전증 등으로 합병증이 발생한 후에 형성된다. 

이 증후군은 심장의 기능상 이상으로 인해 기존에 정상적으로 흐르던 혈류가 방향을 바꾸어 발생하는 혈류역행으로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폐쇄성 폐혈전증이나 뇌경색, 간질환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생명에 지장을 줄 수 있다.

아이젠멩거 증후군은 치료가 어려운 복잡한 질환이기 때문에, 예방과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예방적으로는 선천성 심장질환을 가진 환자는 수술 등을 통해 조기에 치료하고, 후천성 심장질환을 가진 환자는 치료를 받지 않고 지속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며 조기진단과 치료는 합병증 예방과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치료나 수술 후

아스피린 복용, 항응고제 복용, 심부전증 약물을 복용하는 이유와 그 효과 


1) 아스피린 복용: 아스피린은 혈액응고를 억제하여 혈전 형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심방중격결손 환자는 혈압이 높은 경우가 많으며, 이는 혈압이 높을수록 혈전 발생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혈압을 낮추는 아스피린 복용이 권장된다.
2) 항응고제 복용: 항응고제는 혈액을 더욱 억제하여 혈전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심방중격결손 환자 중 혈전 발생 위험이 높은 경우에는 항응고제 복용이 필요하다.

3)심부전증 약물 복용: 심방중격결손이 심부전을 유발할 경우 심부전증 약물이 필요하다. 이러한 약물들은 심방중격결손 환자의 혈압과 혈액응고에 대한 관리 및 심부전 예방을 위해 중요하나  복용 전에는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고, 의사의 지시에 따라 복용해야 한다.

728x90

댓글